본문 바로가기

밀리터리/레이더/센서/전자

각종 스텔스기의 원리와 그에 따른 대스텔스 기술. 기본적으로 스텔스라 함은, 레이더에 대한 추적이 되지 않으며 은밀성을 가지고 적에 대한 공격을 가맹하는 것으로 항공기체 뿐만 아니라 함선이나 차량에 까지 무분별 하게 사용되는 기술이라 할수 있습니다. 항공분야에서 기본적인 스텔스의 개념은 적에대한 다방면의 우의를 점하기 위하여 즉 적에비해 보다 빨리보고 보다 먼저쏘는 개념의 방식으로 개발 되었습니다. 스텔스기의 중심 사상으로 볼수있는 부분이 바로 이 BVR 즉 시계밖.. 가시거리 밖의 적 기체에 대한 카운터 공격이 될수 있으며 빼곡한 적의 방공망을 뚤고 적진 깊숙히 들어와 지정 목표에 대한 정밀 포격을 가하는 방식이 보편적 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위 자료는 여러가지 폭격기들에 대한 RCS값을 나타내는 자료 입니다. 자료에서는 여러가지 기종의 항공기들의 .. 더보기
AWSS 체계 소식 한민 합동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던 AWSS가 실질 시험 테스트까지 이루어 졌다고 하네요. 지금이야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군단급 UAV에 적용될 것으로 이야기 합니다. 네, 보시는 바와 같이 이게 AWSS 계획표 인데요. 10년까지로 완성을 잡고 있습니다? 지금 14년인것을 감안해 보아도 아무리 개발이 느려젔다고 한들 아직까지 멈춰 있겠냐고 생각할수 있겠죠. 뭐, 사실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정확한 소식은없습니다만 해외 소식을 발판으로 대충 예상해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활발히 실험을 진행하고 있더라고요. 리틀버그 등에서 올려서 실험을 하고 그래서 국내에선 어떻게 되가는가 보니 놀고만 있던것 같지는 않네요. 중형 무인항공기인 송골매에 달려서 테스트가 진행 되었던것으로 생각되는데요. AWSS라.. 더보기
땡칠이 씨리즈 42탄 MMIC 칩 (AESA Part 2) 지난 번에 T/R 모듈은 3개의 MMIC 칩과 1개의 VLSI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MMIC 칩은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의 약자이지요. 다음과 같은 3 부분으로 T/R 모듈을 구성합니다. - High-power Amplifier(HPA) - LNA plus protection circuit (receiver front-end) - Variable gain-controlled Amplifier and variable phase shifter T/R 모듈 관련하여 한 번 설명을 드렸었는데 많은 분들이 이 MMIC 칩에 대해서 궁금하게 생각하여, 이번 기회에 자세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먼저 능동소자와 수동소자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하지요. 전자.. 더보기
땡칠이 씨리즈 41탄. Active ESA. part 1. 땡칠이 씨리즈 41탄. Active 형 ESA 레이다. Part.1 이제 미래 레이다의 주역인 액티브형 ESA 레이다를 살펴볼 차례입니다. 어렵다는 분들이 있어서 앞으로는 좀 더 쉽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수준이 낮아지는 건 아니지요. 내용은 더욱 깊이 있게 다루면서 좀 더 설명을 많이 하겠다는 얘기입니다. 찬찬히 읽어보면 모두 이해가 될 것입니다. 앞서 패시브 ESA 레이다를 말할 때, 안테나 파트를 제외하면 내부구조도 MSA(기계식) 레이다와 별 차이가 없고Phase Shifter 도 단순히 빔의 방향만 편향시킨다고 했었지요. 허나 Active ESA 레이다는 내부구조도 크게 차이가 날 뿐 아니라, T/R 모듈 자체도 훨씬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하는 기능도 복잡하지요. 기초에 .. 더보기
땡칠이 씨리즈 40탄, Passive 형 ESA 레이다 * 39탄을 읽지 않은 분은 39탄을 먼저 읽고 오기 바랍니다. 그래야 이해가 됩니다. 땡칠이 씨리즈 40탄. Passive 형 ESA 레이다. Passive 형 ESA 레이다를 알아보기 전에 간단한 기초부터 살펴보기로 합니다. 먼저 레이다를 구분하는 여러 기준 중 하나로 레이다의 파형 (waveform) 에 따라 펄스 레이다(Pulse radar - PR) 와 연속파 레이다(Continuous Wave Radar - CW) 로 나누어지지요. PR 은 방사되는 전파를 톡톡 끈어서 ( ~ ~ ~ ), 사이사이에 짬을 두어서 방사하는 방식이지요. 이 펄스파 운용이 여로 모로 장점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레이다가 PR 입니다. 반면 일루미네이터 같은 추적 조사 레이다는 그 특성상 연속파를 사용하지요. 또 여러.. 더보기
땡칠이 씨리즈 39탄 - 전자주사(ESA) 레이다 땡칠이 씨리즈 39탄. 전자주사(ESA) 레이다. 이번 글에서는 회원 여러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던 전자주사 레이다를 다루었습니다. 전자주사 레이다의 특징과 장점, 패시브형과 액티브형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지요. 이미 다 알고 있는 것처럼,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빔의 방향을 제어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레이다를 전자주사 레이다라고 합니다. ESA 라고 하는데, Electronically Steered(Scanned) Array 의 약자입니다. 먼저 37탄에서 설명한 대로 Array 는 안테나 용어로서 어레이 뒤에는 안테나란 단어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지요. ESA 와 대비되는, 현재 일선 주력 전투기의 레이다로 사용되는 기계적으로 안테나를 움직이며 빔을.. 더보기
줌왈트급의 AN/SPY-3 레이더 이야기.. 하하..;; 안녕하세요..하하;;.. 이번 글도 참 오랜만 이네요 하하;;.. 뭔가 시간도 나지를 않고 땡기지도 않아서 잘 안쓰게 되네요 하하;;.... 죄송합니다. 때리지 마세요. 저가 이렇게 새로운 글로 찾아뵙게 된것은 이번에 대두에 오르고 있는 줌왈트급과 줌왈트급의 뇌를 담당하고 있는 AN/SPY-3 레이더(이하 스파이3 레이더)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고 정리하여 이야기 드리고자 해서 입니다. 이번에 줌왈트급 스텔스 구축함이 진수식을 치루고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이 레이더를 스라피3 레이더로 교체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줌왈트급의 경우 전례없는 구축함으로 극도의 스텔스 구성과 뛰어난 무장 시스템 그리고 고도의 정밀 레이더를 사용하며 세계의 전투함중에 적자가 될수있는 함정이 없을 것으로 평가받고.. 더보기
인천함의 "SMART-S Mk.2" 3차원 대공 레이더 이야기 예. 지금부터 설명드릴 레이더는 탈레스사의 중거리 3차원 레이더 입니다. 탈레스사가 선보인 전자주사식 AESA 레이더며 한국의 삼성 탈레스가 생산면허를 가지고 있는 한국형 이지스 AESA 레이더라고 하지요. 지금부터는 과연 탈레스사의 SMART-S Mk.2 레이더가 과연 이지스함의 효과를 보여줄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되는가를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뒤에 보이는 거대한 레이더는 독도함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L로 L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장거리 탐지용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일단 이 스마트-S 마크2의 속을 좀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이것이 스마트-S 마크2 레이더의 전자회로 입이다. 쉽게말해 전파를 발산하는 송신기 이죠. 보시는바와 같이 강한 전파를 발산하는 작은 모듈의.. 더보기
능동형 전자주사 레이더 "AESA" [능동 전자주사식 레이더] 일단 안테나는 무엇인가.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안테나 즉 레이더의 경우 안테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식히는 식으로 군사적 측면에서 보면 적을 탐지하게 된다. 이것이 일반적인 레이더들의 공통점이다 하지만 이번에 알아볼것은 능동형 전자주사식 레이더(AESA)이다. 일단 이 전자주사식 레이더는 수동형과 능동형이 있다 일단 수동형같은경우 전파를 만드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따로따로 있다 하지만 능동형 같은경우 송신기와 주신기가 하나로 복합되 있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초기 MIG-35의 기계식 레이더] 자. 그럼 기계식 레이더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해 보도록 하자. 일단 기계식 레이더는 수동형과 같이 송신기와 수신기를 따로 각각 탑제한다 허나 전자주사식 이라는 부분에서 틀리다 일.. 더보기
스파이 레이더 초 간단 포스팅 오랜만에 초 간단 포스팅을 한번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소개할 녀석은 이지스 시스템의 기반인 스파이 레이더 입니다. 이 레이더의 경우 냉전시대 항공모함을 보호하기 위하여 대공 구축함을 계획 한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 스파이 레이더의 가장 큰 장점은 위상배열 레이더를 사용한다는 것 입니다. 위상배열 레이더의 경우 항공기 레이더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더로 손 꼽히는 에사 레이더의 기반인데 말이죠. 그 위상배열 레이더의 형태를 함정에다 점목 시켰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에사 레이더와 스파이 레이더는 다른것 입니다.) 잠시 스파이 레이더의 성능에 대햐여 잠시 설명 드린다면, 탐지거리 및 추적거리 - 1054km 탄도 미사일 탐지거리 - 925km 표적 최대 동시 추적 - 900~1000기 동시교전 가능 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