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군의 레이저 총 "PHASR건" PHASR건 레이저 기술을 이용하여 첫번째 포터블식 비살상 억제무기가 미공군에 의해 개발되어 시험중입니다. Personnel Halting and Stimulation Response, 혹은 PHaSR라고 불리는 이 무기는 적군을 방어하고 호전적군중들을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 미공군 Research Laboratory's Directed Energy Directorate에서 개발하였으며 텍사스 Brooks 시에 있는 Human Effectiveness Directorate와 버지니아주 Quantico에 있는 Joint Non-Lethal Weapons Directorate 에서 시험중입니다.개발된 레이저 총은 2연장의 레이저 시스템을 체용 하였다고 합니다. 무기로 사용되는 레이저 총은 레이저의 범위를 조절.. 더보기 히틀러의 전기톱 "MG-42" 일병 구하기" 라던가 게임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에서 대표적으로 연합군이 노르망디를 상륙하는 작전이 나온다. 위에서 제시한 영화나 게임을 해 보았다면 히틀러의 전기톱. MG42가 무엇 인지는 대충 알수 있을 것이다. 6월6일 D-DAY 노르망디 상륙작전 연합군의 대규모 함대를 이끌고 오마아해로 향하여 레인저 부대를 선투로 육군을 상륙시키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싱행한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대표 적으로 나치사령부 쪽에서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표현하는 것들도 많이 있다. "마이웨이" 라는한국 영화 에서도 보여진다. 물론 나치정권이 예상은 했지만 확신을 하지 못한것이 많은 피해를 준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본론으로, 이 MG42라는 총기는 당시 현존하는 총기.. 더보기 NATO탄과 Warsaw Treaty Organization탄 의 차이점 - 미국/유럽의 탄환 1. 9x19mm Parabellum (9mm파라블럼, 권총,SMG 탄환) - 약 420~700J (탄의 종류에 따라 다름) 2. .45 ACP (11.43x23mm) (45구경, 권총, SMG 탄환) - 약 480~700J (탄의 종류에 따라 다름) 3. 7.62 x 51 mm NATO (.308 Winchester) - 약 3350J 4. 5.56 x 45 mm NATO (.223Remington) - 약 1350J 5. 5.7x28mm (P90) - 약 460~534J 6. 4.6x30mm (MP7) - 약 421~468J 7. .338 Lapua Magnum (8.6x70mm or 8.58x70mm) 저격 탄환 - 약 4900J 7. .50 BMG(12.7x99mm) 대구경 .. 더보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Eurofighter Typhoon/EF-2000) 의 RCS (Radar Cross Section) minimal frontal RCS-0.05~0.1 m2 즉 전면부 레이더 반사면적이 0.05~0.1 제곱미터 정도되며 F-35 라이트닝ll 의 경우 0.005 m2 정도 됩니다. 유로파이터 타이푼의 전면부 RCS는 슈퍼호넷 보다도 적은 퍼포먼스를 보여 준다고 합니다만 무장을 하였을 경우 RCS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지진 못하죠. 타이푼은 AWACS인 E-2C Hawkeye 2000 and E-3C 에게 120~170km 거리에서 탐지가 가능 합니다. 비무장 기체의 경우 말이죠. 물론 집중조사를 진행할 경우 더 멀리서 탐지가 가능하겠죠. 더보기 "그라프 체펠린" 나치독일의 비운의 항공모함 그라프 체펠린. 나치독일의 최초의 항공모함이 될수도 있었던 함선이며 비운의 함선일 뿐더러 히틀러의 헛된 꿈과 함께 사라진 하나의 걸작이였습니다. 사실 독일제국은 1차대전 당시부터 항공모함을 건조할 구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쟁이 고조될수록 독일제국의 피해는 늘어났습니다 결국 중심함들이 영국해군에 털리고 독일제국의 무제함 잠수함 작전으로 지나가는 배들 다 털고 다니다 미국 사람들이 대거 타고있던 유랍선 개박살 미국 참전까지 가져다 줬죠.. 병신짓 참 많이 했습니다. 결국 그렇게 독일제국은 패하게 되고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서 독일은 모든 중심전력 함들을 폐기처분 그리고 더 이상 생산하지 못하게 됩니다. Ausonia 이것이 최초로 항공모함의 개념이 확립된 함선 이였습니다. Ausonia는 위.. 더보기 아시아 TOP2 최대의 강습상륙함 독도함 네. 아시아 2번째, 최대의 헬기모함or상륙지원함 이라고 불리고 있는 대한민국 해군의 자랑스러운 독도함 입니다 독도함은 많은 규모의 병사들과 (상륙장비들 상륙돌격장갑차 같은거) 많은 헬기들을 수용할수 있는 매우 큰 크기의 수송함이라고 불리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굴러 다니는 말들 중에서는 소형 항모라고도 하는데 독도함은 항모의 조건을 가추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수직 이륙.착륙기가 도입이 된다면 항모의 역할도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독도함은 실제로 다목적강습상륙함 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강습상륙함으로 불리고 있다고 합니다 강습상륙함의 주 목적은 말 그대로 강습상륙을 감행할시 효율적인 병력이송과 빠른 상륙지원이 주 목적이며 그로인해 한미에는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고 넓은 갑판과 많은수의 헬.. 더보기 최고의 대잠초계기 P-3C 오라이온 하늘의 제공권을 지키는것은 아주 중요한 일 입니다 하지만 해상권을 지키는것 또한 중요한 일이 되죠 1차 대세계전 또는 2차 대전에서 연합군은 독일의 신형 잠수함 U-보트에 많은 피해를 보았습니다. 그로부터 소나라는 음파 탐지기가 개발 되었고 대잠수함 기술을 날이 갈수록 발전해 나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육지와 같이 공중에서 직접 정찰을하며 온갓 첨단 장비들을 동원해 대잠수함 작전을 펼칩니다. 그것이 지금 알아볼 최고의 대잠초계기 P-3C 오라이온 입니다. 오라이온 제작사는 록히트마틴 사로 유명한 항공장비를 개발하는 방산기업 입니다.처음에는 100인이 탈수있는 록히드 L-188 일렉트라는 항공기로 제작 되었지만 초계기 주문이 들어 오면서 군용 버전으로 개조되어 대잠임무를 펼칠수 있는 대잠초계기로 탈바꿈 한것.. 더보기 인천함의 "SMART-S Mk.2" 3차원 대공 레이더 이야기 예. 지금부터 설명드릴 레이더는 탈레스사의 중거리 3차원 레이더 입니다. 탈레스사가 선보인 전자주사식 AESA 레이더며 한국의 삼성 탈레스가 생산면허를 가지고 있는 한국형 이지스 AESA 레이더라고 하지요. 지금부터는 과연 탈레스사의 SMART-S Mk.2 레이더가 과연 이지스함의 효과를 보여줄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되는가를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뒤에 보이는 거대한 레이더는 독도함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L로 L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장거리 탐지용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일단 이 스마트-S 마크2의 속을 좀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이것이 스마트-S 마크2 레이더의 전자회로 입이다. 쉽게말해 전파를 발산하는 송신기 이죠. 보시는바와 같이 강한 전파를 발산하는 작은 모듈의.. 더보기 "SM-6" 한국군 도입이 결정된 함대공 미사일 얼마전에 국방부에서 공식적으로 대탄도탄에 대한 제한적인 요격을 구축할수 있는 함대공 미사일인 SM-6 미사일의 도입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그로 인해서 밀리터리 매니아쪽 소식에서는 상당히 반갑게 여기고 있으며 한국군의 자체적인 KAMD 구축에 한발 내딛을수 있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대한민국 해군에서 들이게 되는 SM-6 항대공 미사일에 대한 허와 실을 구분하고 단점과 장점 대상에 대한 성능비교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레이시온社의 스텐더드 미사일의 종류는 다들 아고 있듯이 요약 하자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것 중에 SM-2, 3, 6 입니다. 이 미사일들의 각기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그 전에 이 레이시온社의 스텐더드 미사일의 특징을 뽑아 보자면 이 미사일의 분류는 2가지도.. 더보기 토폴-M 에 대한 과장과 오해. 본문은 "잉간" 님의 덧글을 가져온것 입니다. 토폴-M은 후속작인 RS-24나 블라바에 비교했을때 특별할게 없는 MIRV입니다. 로켓추진체로 점화 후에 연료를 끊어 탐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논리 입니다. 이미 로켓추진체가 작동되고 대기 상승을 시작할때는 적외선 장치가 쓰이는게 아니라 고해상도 레이더가 추적을 담당하기 때문에 열과는 관련 없습니다. 레이더 흡수물질을 말씀하시는거 보니 RAM을 말하시는듯 한데, 상승단계에서는 탄두가 직접 드러나는게 아니기에 레이더에 그대로 노출되며 탄두의 추적은 레이더와 적외선 시커가 병행하기 때문에 RAM을 발라도 그닥 의미는 없습니다. 그리고 외부 냉각장치는 탄두에 있는게 아니라 로켓 추진체에 있는겁니다. 탄두는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수백도에 달하는 열을 냉..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